곰취(왼쪽)와 동의나물.
|
곰취와 동의나물, 산마늘과 박새는 생김새가 비슷하지만 성질은 전혀 다르다. 곰취와 산마늘은 먹을 수 있지만 동의나물과 박새는 독초여서 주의를 해야한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해마다 발생하는 독초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혼동하기 쉬운 약초와 독초의 구별법을 소개했다.
대표적으로 많이 착각하는 식물은 곰취와 동의나물, 산마늘과 박새-은방울꽃, 원추리와 여로 등이 있다.
곰취는 잎이 크고 향이 좋아 쌈으로 인기가 많다. 이와 비슷한 동의나물은 독성이 강해 잘못 알고 먹으면 탈이 나는 경우가 있다.
곰취는 잎이 부드럽고 가는 털이 있으며, 동의나물은 잎이 두껍고 털이 없어 광택이 난다는 점이 다르다.
또한 곰취는 취나물 특유의 향이 있지만 동의나물은 향이 없다.
항암 효과가 높다고 알려진 산마늘은 명의나물로도 잘 알려져 있으며 맛과 향이 좋아 쌈으로 많이 이용한다.
![]() |
이 산마늘은 독성이 있는 박새나 은방울꽃과 비슷하다.
그러나 자세히 보면 산마늘은 잎이 2~3장 나는데 비해 박새는 줄기가 곧게 서며 잎이 줄기를 감싸듯 여러 장이 촘촘히 어긋나게 달린다. 은방울꽃은 꽃이 줄기에 방울방울 맺힌다.
연한 잎을 식용하는 비비추도 산마늘과 비슷한데 잎의 가장자리에 가늘게 잎 주름이 있다.
박새, 은방울꽃, 비비추도 비슷하기 때문에 먹기 전에 반드시 전문가의 검증을 받는 것이 좋다.
원추리는 어린잎의 식감이 부드럽고 맛이 좋아 데쳐 먹는다. 충분히 데쳐 먹으면 안전하지만 어린잎이 아니면 먹지 않아야 한다.
원추리와 혼동하기 쉬운 독초는 여로다. 독초의 어린잎은 전문가도 구분이 쉽지 않아 특히 조심해야 한다.
원추리는 잎에 털이나 주름이 없이 미끈한 반면, 여로는 잎에 털이 많고 잎맥 사이에 주름이 나 있다.
식물체의 잎이나 줄기를 꺾어 냄새를 맡아보고 냄새가 역하다면 일단 독초라고 의심해봐야 한다. 또 벌레가 갉아먹은 흔적이 있다면 독초가 아닐 가능성이 크다.
산약초를 잘못 먹고 복통과 구토, 어지럼증, 경련 등의 증세가 나타났을 때에는 음식물을 토해 낸 뒤 신속히 응급실에 가야 한다.
이때 먹은 식물을 가져가면 중독의 원인과 해독 방법을 찾는데 도움이 된다.
농촌진흥청 약용작물과 이정훈 박사는 “확신할 수 있는 산약초가 아니라면 야생 식물을 함부로 채취해 먹는 걸 자제하는 것이 좋고 ,필요할 때는 전문가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