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간 소방시설관리업체 점검 상당수 부실 판명
  •  소방서를 대신해 소방점검을 하는 민간 소방시설관리업체의 점검이 상당수 부실해 이들 업체에 대한 관리·감독 시스템 보완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경기도 감사관실에 따르면 도는 지난 5월 8일부터 이달 13일까지 소방관서 점검반과 합동으로 ‘민간에 맡긴 소방점검실태’에 대해 불시 소방특별조사를 실시한 결과 총 383개 점검 건물 중 253개 건물(66%)에서 경보장치, 스프링클러, 방화셔터 등 소방시설이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 감사관실 관계자는 “점검건물의 66%에 해당하는 건물이 불량 소방시설이 방치된 것으로 나타나 민간 소방시설관리업체의 점검이 취약했다”며 “특히 노유자·의료시설·근린생활시설의 경우 소방시설이 70% 이상 불량했다”고 말했다.

     감사결과 건물주가 민간 관리업체를 선정해 점검하기 때문에 해당업체는 점검 및 불량사항 지적보다는 건물주를 고려한 점검결과를 소방관서에 제출하고 있었다.

     또 해외출장 중임에도 점검인력으로 참여한 것으로 거짓 보고하는 등 부실보고서 제출 사례도 25건이나 적발됐다.

     소방펌프, 방화셔터 등 소방시설 임의조작 및 고장방치 사례가 317건이나 확인돼 건물주의 안전의식도 이 부실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밖에도 피난계단·대피로 및 방화셔터 작동장치 주변에 적치물을 방치한 경우도 355건이 발견돼 현장에서 즉각 시정 조치했다.

  • 글쓴날 : [14-06-19 15:52]
    • admin 기자[null]
    • 다른기사보기 admin 기자의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