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개발한 장미가 해외로부터 받을 로열티가 현재까지 7억 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경기도농업기술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농기원은 2009년도부터 올해 7월까지 ‘딥퍼플’ 등 5품종 248만주를 19개국 163개 농장에서 재배해 모두 7억 2천만 원의 로열티 수입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 됐다.
농기원은 현재까지 3억 2천만 원을 받았고 올해만 2억 원의 로열티를 받았다고 설명했다.
도는 지난 2009년 ‘그린뷰티’ 5만주를 해외에서 판매, 2010년에 국내 최초로 로열티 3,856달러를 받았다.
로열티를 주기만 했던 국내 화훼시장 상황을 감안하면 이례적인 일이었다.
도는 2011년 15,188달러, 2012년 29,092달러, 2013년 66,642달러, 2014년 193,363달러(2억 원) 등을 로열티 수입으로 거둬들이며 장미수출 국가로 이름을 얻게 됐다.
그 동안 그린뷰티는 239,678주가 8개국 32개 농장에, 주력 판매 품종인 딥퍼플은 2,087,663주가 11개국 137개 농장에, 락파이어는 108,580주가 6개국 9개 농장에, 실버쉐도우는 16,180주가 1개국 2개 농장에, 아이스베어는 31,947주가 9개국 14개 농장에 판매돼 세계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다.
주요 생산지는 남미지역의 에콰도르, 콜롬비아, 멕시코와 아프리카의 케냐, 이디오피아 등이다.
농기원 관계자는 “내년부터 아이스레드 등 4품종이 해외현지에서 증식돼 본격적인 판매를 앞두고 있어 로열티 수입이 더 늘어날 것"이라며 "딥퍼플 한 품종이 전체 판매의 80%를 차지하고 있지만, 내년부터는 케냐, 이디오피아 등 아프리카 국가의 판매가 점진적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