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가 국토부와 LH의 동탄2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 축소 변경안에 강력히 반발했다.
김문수 경기도지사는 30일 성명서를 통해 “동탄2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을 축소하려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국토교통부 계획은 경기도민과의 신뢰를 저버리는 행위”라며 “당초 원안대로 이행할 것”을 촉구했다.
김 지사는 “동탄2신도시의 광역교통대책 비용은 이미 입주(예정)자의 분양원가에 포함된 것이므로 이를 일방적으로 축소하는 것은 부당할 뿐만 아니라 삼성~동탄 간 GTX를 포함한 철도·도로 분야 분담금 축소가 초래할 졸속 교통대책은 동탄2신도시 정주 여건을 악화시킬 것”이라고 우려했다.
동탄2지구 택지개발사업은 화성시 동탄면 영천리, 청계리 외 11개리 일원 2401만4896㎡(727만7천 평)을 개발하는 대규모 사업이다. 총사업비는 16조7571억 원이고, 수용인원은 12만4326명이다. 2008년 7월 착공해 2015년 12월 완공을 목표로 한다.
LH는 애초 동탄2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으로 총 5조2236억 원을 들여 도로·철도 부문에서 24개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최근 주택시장 침체와 재무여건 악화로 신도시 사업성 확보 등을 위해 24개 사업 중 12개 사업을 변경, 2조7904억 원을 감액하는 내용의 개선안을 내놨다.
경기도는 변경안에 포함된 도로 부문 8개 사업 가운데 제2외곽순환고속도로(동탄JCT~용인)와 제2경부고속도로(용인~서하남)의 용지비 분담 제외, 국지도 82호선 확장사업 제외, 경부고속도로(기흥동탄IC~동탄JCT) 개선 등 4개 사업은 수용할 수 없다고 밝혔다.
경부고속도로 연결도로(봉명~남사IC) 도로 연장 변경은 부산 방면으로만 허용되는 IC진출입 체계를 서울방면으로도 가능토록 개선하면 받아들이겠다는 조건부 수용 의사를 밝혔다.
철도 부문에서는 광역급행철도 분담금 축소, 복합환승센터 사업 조정, 도시철도(광교~동탄2~오산, 병점~동탄2) 제외, 일반형 BRT 신규 반영 등 4개 사업을 수용할 수 없다고 밝혔다.
특히 도는 광역급행철도 사업 축소안에 대해 “KTX와 GTX 공용구간 동시 시공은 동탄2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비로 우선 추진키로 한 철도산업위원회 결정을 LH에서 일방적으로 무시하는 처사”라며 절대 수용 불가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