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서해안 포구 바닷물에서 올해 도내 첫 비브리오패혈증균이 발견됐다고 1일 밝혔다.
도는 4월부터 비브리오패혈증균 감시사업을 실시해 한 달여 동안 해수 14건, 갯벌 11건, 어패류 15건을 검사했으며, 이 가운데 지난 달 24일 채수한 해수에서 균을 분리했다.
이는 지난해보다 1주일가량 늦은 것으로 지난해는 4월 17일 채수한 바닷물에서 비브리오패혈증균이 검출됐었다.
비브리오패혈증은 전국적으로 연평균 50명 안팎의 환자가 발생해 치사율이 50%에 이르는 제3군 법정감염병이다. 온도가 상승하는 5~10월 사이 많이 발생하며, 비브리오 패혈증균에 오염된 어패류를 생식하거나 오염된 바닷물이 상처와 접촉할 때 감염될 수 있다.
도내에서는 2013년과 2014년 8월, 2015년 6월, 2016년 2월, 2017년 4월에 첫 비브리오패혈증 환자가 발생하는 등 출현시기가 조금씩 빨라지고 있다.
도내 연간 비브리오패혈증 환자발생은 2013년 9건, 2014년 8건, 2015년 6건에서 발생시기가 상대적으로 빨랐던 2016년 12건, 2017년 10건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환경연구원 관계자는 “어패류는 85℃ 이상으로 익혀먹고 피부 상처가 있을 경우 바닷물과의 접촉을 피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